Current
EXHIBITION
그곳은 말이 되지 않는다
/Where meaning fails
schengen gallery 2025 상반기 공모 선정 개인전
10 - 29. Jun. 2025
공윤정 Gong Yunjeong
[주최/기획]
schengen gallery
[ 그곳은 말이 되지 않는다/ Where meaning fails ]
인간에게 ‘불안’이라는 단어는 익숙하며 일상적인 단어이다. 고대 원시사회의 생존 위기와 위험으로부터 시작된 불안은 언제나 인간의 생활반경과 직접적 관계를 맺으며 변화해왔으며 오늘의 현대 사회까지 다양한 형태의 불안으로 이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불안은 실재적 경험을 통해 습득하지만, 의지와는 무관하게 의식적으로 인간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불안은 실질적 공간에 존재하며 불쾌함과 긴장감을 제공 하지만 그 형태는 규정 불가능한 비가시적 존재이다. 이렇게 불안은 인간과 땔래야 땔 수 없는 사이가 되었고, 예술의 다양한 장르에서 불안의 개념을 지속적으로 다루며 우리에겐 불편하지만 익숙한 존재로 인지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으로 전시는 내적 불안과 같은 감정들이 작동하여 존재하지만 가시화되지 않는 장소들을 작가 본인의 주관적 경험을 통해 재구성된 공간으로 표현하고 있다. 형태가 각기 다른 세 개의 장면은 익숙하지만 명확한 정의를 내리기엔 애매한 감각의 장소들이며, 각 작품의 물리적 구조를 빌려 정서적 압박, 기억의 잔재 그리고 통제되지 않는 관계 속 감각들을 드러낸다,
작가는 장소, 주위의 물건 등 인식의 경험을 통해 자신의 내부에서 역동적으로 반응하는 감정들과 연관 지어 공간의 확장성을 드러내며 또다른 주관성을 들어낸다.
“ 불안은 공간이 아니라, 장소에서 자란다. 내 안에 있는 장소에서…
감정은 말없이 비틀리고, 존재는 언제나 폭발 직전이다. 불안은 내부로 침투하고, 사적인 장소조차 온전히 나의 것이 아니다. 공간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더 이상 ‘안’이 아니라 ‘곁’에 머문다.
그 거리감 속에서 우리는 성장과 상실의 감정을 마주하게 된다.” - 공윤정 작가노트 중 -
공윤정은 말이 되지 않는 공간을 만든다. 그것은 공간이기 이전에 감정의 상태이고, 기억의 파편이며, 존재의 조건이다. 공간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복잡하고 불안한 내적 감정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관람객에게 강렬한 영향을 미치며, 각자 본인의 의지와는 무관한 주관적 경험의 장소를 제공한다.
schengen gallery
공윤정 Gong Yunjeong
학력
2018.03 - 2022.02 전남대학교 조소과 졸업
2022.03 – 2025.02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조소과 졸업
개인전
2025 <그곳은 말이 되지 않는다> schengen gallery
2024 <유동적 공간> , 이너프라운지
단체전
2024 <홍대 레드로드 갤러리> , 홍대 레드로드
2023 <Zoom in>, 문래예술공장
2023 <B1 of Hawkins> , WWW Space
2023 <Breath> , CICA Museum
2023 <Let’s Revive> , AK 갤러리 특별전시, 갤러리 베누스
2023 <Chemistry - 아트디오션갤러리 초대전>, 아트디오션갤러리
2023 <마포미술협회전> ,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2023 <Mapping imagination>, 아트맥 갤러리
2022 <마포 갤러리 연합전> ,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2022 <조각 케이크>, Gallery DOS
2022 <Busan International Art Exhibition>, 해운대문화회관
2022 <마찰>, Gallery KOSA
2022 <공존>, Gallery Ark
2022 <어디로든 문>, Gallery Space Urban
2021 <광주 전남 발전 협회 전시회>, 광주비엔날레
2020 <광주 전남 발전 협회 전시회>, 광주비엔날레
레지던스
2025 광주시립미술관 청년예술센터 입주예술인
아트페어/프로젝트
2024 <월드아트엑스포> , 코엑스
2024 홍대 레드로드 작가 워크숍프로그램 운영 (작품 체험프로그램 기획,진행)
2023 <마포 아트마켓> , 홍대 레드로드
2023 <화동아트페어> , 금보성 아트센터
2022 제1회 부산 국제환경 영화제 (대표 조형물 제작 및 행사 기획,진행)